피해학생 보호자 상담 피해학생의 보호자는 자녀의 피해사실에 대하여 놀라고 당황스러워하는 한편 가해학생에 대한 분노와 원망, 억울함, 자신의 자녀에 대한 미안함 등으로 보호자가 자녀를 대신하여 무엇이라도 해주고 싶은 마음이 들 수 있다. 이러한 면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에 중점을 두어 상담한다. |
1) 우선 보호자의 감정이 격앙됨을 이해하고 보호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보낸다. 2) 확인된 사실을 부모가 정확히 알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한다. 3) 조사한 사실에 대한 추가 의견이나 자료 여부에 대해 점검한다. 4) 피해학생과 보호자가 현재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히 묻는다(화해, 사과, 전학, 가해학생 처벌 등). 5) 학교의 공정한 진행 절차에 대해 안내한다. 6) 피해 측이 가해 측과 면담을 요청할 경우, 다른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교사나 전문가 입회 하에 만날 수 있도록 한다. 7) 학생의 보호와 안정, 적응을 위해 학교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임을 약속한다. 8) 피해를 당한 학생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가정에서의 보호자 역할을 안내한다. 9) 피해학생 보호자에게 외부기관의 상담이나 지원(학교폭력피해자가족협의회의 피해학생 학부모 위로 상담가, 푸른나무재단의 화해·분쟁조정 지원 등)을 받을 수 있음을 안내한다. 1. 피해사실의 확인 단계 ? 학생의 피해사실에 대해 객관적으로 인지한다. (학생의 학교폭력을 언제, 어떻게 알게 되셨습니까?/ 학생은 누구에게, 얼마동안, 어떤 일이 있었다고 이야기 하였나요?/ 혹시 주변에 이 사실을 객관적으로 본 친구가 있나요?) ? 학생의 피해사실을 구체적으로 메모한다. ? 학생의 현재 상태에 대해 질문한다. (00는 현재 어떤 상태인가요?) | ? | 2. 감정의 이해 단계 ? 보호자의 감정을 수용하고 학생의 피해사실에 대해 유감을 표현한다. (많이 속상하셨죠? 저도 걱정이 되고, 몹시 가슴이 아픕니다.) | ? | 3. 사안처리 과정에 관한 설명 단계 ? 추후 처리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앞으로 이 일이 심의위원회에 회부가(학교장 자체해결이) 되면, …… 식으로 절차가 진행이 됩니다.) ? 사실에 근거하여 문제가 해결되도록 노력하고 있음을 알린다. (실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와 그 과정에서 00가 어떤 어려움이 있었는지를 객관적으로 조사하여 그에 맞는 조치를 취하게 될 것입니다.) ? 분쟁조정 절차에 대해 안내한다. | ? | 4. 신뢰구축 단계 ?학생의 보호와 안전, 적응을 위해 노력할 것임을 약속한다. (현재 가장 중요한 것은 00가 안전하게 학교생활을 하는 것이며, 심리적인 충격 없이 학교에 적응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학교에서도 노력하겠습니다.) |
|
라. 가해학생 보호자 상담 가해학생 보호자 역시 자녀가 다른 학생에게 폭력을 휘둘렀다는 사실에 당황스러움과 혼란스러움, 의심, 미래에 대한 불안감 등을 경험하게 된다. 동시에 잘못을 인정하면 더 큰 피해를 입을지도 모른다는 우려도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가해학생 보호자를 다음과 같은 사항에 중점을 두어 상담한다. |
1) 가해학생 보호자의 감정을 일단 수용하되, 가해학생의 행위는 정확히 알려준다. 2) 피해학생의 피해정도 등 학교폭력 상황을 정확하게 알려준다. 3) 조사한 사실에 대한 추가 의견이나 자료 여부에 대해 점검한다. 4) 학교폭력 사안처리의 진행절차에 대해 안내한다. 5) 학교폭력 행위에 대하여 책임과 결과가 따른다는 인식을 갖도록 한다. 6) 가해학생을 낙인찍지 않고, 교육적으로 적절한 지도와 선도가 이루어질 것임을 알린다. 7) 가해학생에 대하여 가정에서의 관심과 지도를 부탁한다. 1. 감정의 이해 단계 ? 보호자의 감정을 수용하고 학생의 가해사실에 대해 유감을 표현한다. | ? | 2. 신고내용 및 상대학생의 피해사실 고지 단계 ? 신고내용 및 상대학생의 피해사실 등을 객관적으로 안내한다. | ? | 3. 사안처리 과정에 관한 설명 단계 ? 추후 처리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 진심 어린 사과의 중요성을 인지시킨다. ? 분쟁조정 절차에 대해 안내한다. | ? | 4. 화해 및 학생지도에 관한 조언 단계 ? 궁극적 학생지도 방안에 대해 말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앞으로 우리 학생들이 안전하게 학교생활을 하고 두 학생 모두 심리적인 충격 없이 학교에 잘 적응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 한 발짝 뒤로 물러서서 무엇이 문제 해결과 궁극적인 자녀지도에 도움이 될지 어른의 입장에서 함께 생각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가해학생 보호자의 경우에 자신의 자녀가 피해보지 않을까? 라는 걱정이 많으므로, 담임교사가 객관적인 입장에서 가해학생 역시 걱정하고 있음을 알려주어야 한다. ? 진심 어린 사과의 중요성을 인지시킨다. (가해 측에서 피해학생의 신체적.심리적 후유증에 대해 이해하고 진심으로 사과한다면 피해학생이 안정을 찾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
|
|